고용석 작가
누구보다 빨리 MP3를 사용했을 만큼 내로라하는 얼리어답터. 그러나 어느 순간, 디지털 기기에 삶이 지배당하는 것을 느껴 ‘디지털 디스커넥트’ 프로젝트를 시작. 디지털과 삶의 조화를 고민하고 실험해 그 결과를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다.
2020년. 오랜만에 제주도로 여행을 가기로 했다. 공항에서 발권을 하자마자 티켓 사진을 찍으려고 하는데, 갑자기 ‘이번에도 엄청 찍어대겠지. 근데 내가 여행 사진을 다시 본 적이 있나?’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번 여행에서는 하루에 딱 세 장만 촬영하기로 결심했다. 너무 가혹한 결정이 아닐까 싶었지만, 이렇게 극단적으로 하지 않으면 여행 내내 무의미하게 스마트폰 버튼만 누를 것 같았다.
티켓 사진부터 찍지 못하자 뇌는 비명을 지르기 시작했다. 손이 계속 주머니 속 스마트폰으로 향했다. 뇌는 끊임없이 금단증상을 호소하고 적당히 타협하려 했고, 나는 결국 스마트폰을 주머니가 아닌 가방 깊숙한 곳에 넣었다.
터미널 중앙에 독특한 구조의 기둥이 보였다. 거대한 유리지붕을 단순하게 생긴 기둥 몇 개가 지탱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나도 모르게 ‘찍어놓고 미술 수업 참고자료로 써야겠다’ 생각하고 주머니에 손을 넣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이미 가방에 봉인해 두었기에 텅 빈 주머니만 뒤적거릴 뿐이었다.
수업 참고자료로 써야겠다’ 생각하고 주머니에 손을 넣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이미 가방에 봉인해 두었기에 텅 빈 주머니만 뒤적거릴 뿐이었다.
뇌는 계속해서 지금 찍어두지 않으면 다 잊어버릴 거라고 협박했다. 그동안 나는 명함도, 메모도 바로바로 찍어놓곤 했다. 나중에 안 볼 걸 알면서도 안심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내가 그걸 찍었다는 것조차 잊는다는 점이다. 결국 수많은 사진에 묻혀 내 기억도 사라졌다.
그렇다면 이 순간을 잊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라스코 동굴 벽화를 그린 원시인이 되기로 했다. 먼 옛날 원시인들은 어두운 동굴 속에서 횃불을 켜놓고 숯과 흙으로 자신이 간직하고 싶은 걸 그렸다. 어쩌면 소중한 기억과 경험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 남겨 영원히 간직하고픈 욕망은 이때부터 시작된 게 아닐까? 지금에 와서는 스마트폰 카메라가 그 자리를 넘보고 있을 뿐.
뇌의 협박에 대해 나는 반격을 가했다.
고용석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