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감으면 더 많이 보여

화가 김재관

우아한 추상화 작품이 영화에도 나왔다면서요

최상류층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였어요. 대저택에 걸 그림이 화려하면서도 우아해야 하는데 감독이 제 그림이 딱이라며 연락을 해왔죠. 스무 점을 빌려줬는데 그 작품들이 방, 거실, 주방 곳곳에 배치됐더라고요. 왜 그 영화에 내 작품을 도배 하다시피 했을까 궁금했어요.(웃음)
사람은 이성, 질서, 정형을 추구하지만 동시에 감성적인 것, 무질서한 것, 무정형적인 것도 바라잖아요. 화가로서의 제 인생도 정형적인 것을 무정형적으로 표현해내고, 무정형적인 것을 정형적으로 표현해내는 싸움이었던 것 같아요.
우리가 ‘연기’를 잡을 수는 없지만 그림으로는 표현해 내야 하잖아요. 제 생각이나 마음도 잡히지 않는 것이지만 화가는 그걸 잡아내어 표현하고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거죠. 그래서 제 박사 논문이 ‘그리드격자의 형성과 해체에 관한 연구’예요. 격자라는 질서를 만들었다가 그 질서를 흐트러뜨리는 작업인 거죠.

영화감독도 제 작품에서 그런 것을 발견했던 것 같아요. 일정하게 공간을 구획 짓는 격자를 통해 질서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갈구하지만, 동시에 근원적 생명 욕구와 원초적 욕망으로 그 질서를 해체해 나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표현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실제로도 영화 속 주인공이 굉장히 이성적인 인물 같지만 감성적인 욕망에 충실한 삶을 살면서 고통을 맛보거든요. 그 영화가 청룡영화상에서 미술상을 받았어요.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추상화를 왜 시작하셨어요?

대학 시절, 서른셋 밖에 안된 하종현 교수를 지도교수로 만나게 됐어요. 저는 그분 작품을 보기 전까지만 해도 그림은 제 시야에 들어오는 세상을 그리는 건 줄로만 알았어요.
시청 앞 갤러리에 하종현 교수 작품이 걸렸는데 난생처음 구체적인 형상 없이 자유롭게 붓칠한 기하학적 작품을 본 거예요. 당시 고등학교 미술책에는 고흐, 고갱은 나와도 피카소는 사회주의자라고 책에 못 실었어요. 그런 시절에 하종현 교수 작품을 보면서 ‘아~ 풍경화, 정물화만이 그림이 아니구나. 이런 것도 작품이 되는구나’ 시야가 넓어졌어요.
결국 ‘그림’ 그리는 데 있어서 핵심은 ‘구체적인 모양을 어떻게 사실적으로 그려내는가’가 아니라 ‘내 마음속에 있는 세계를 어떻게 표현해내느냐’라는 것을 깨닫게 된 거죠. 현대미술, 추상화에 눈을 뜨게 해주신 분이 바로 이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추상화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추상은 사실과는 정반대의 개념이죠. 보이는 그대로 그린 게 ‘사실’이라면 보이지 않는 세계, 즉 마음속에 있는 것을 그린 게 ‘추상’이에요.
세상에서 눈에 보이는 것이 더 많은 것 같죠? 눈 감으면…

spot_img

학교폭력! 도저히 못 참겠다

흰물결이 만난 사람김종기 푸른나무재단 명예이사장 아드님이 학교폭력으로 힘들어하는 느낌을 받은 적은 없었나요한번은 아들 얼굴에 멍이 들고 안경까지 망가졌어요. 깡패한테 맞았다고...

新聞이냐 舊聞이냐

발행인 윤 학 그림 이종상 어릴 적부터 신문을 보아왔다. 그런데 10년, 20년, 30년 신문을 보면 볼수록 신문新聞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어느 가족의 용서

첫 휴가도 나가기 전에 부대 내에서 불의의 사고로 20년 12일이라는 짧은 생을 살다 간 알렉산델의 아버지를 만났다. 알렉산델은 과속으로...

채빈이의 분노

이준원 교사마음지원센터 소장 채빈이는 책상과 의자를 집어던지며 교실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었다. 나는 교실 뒤쪽에 앉아 씩씩거리다가 통곡을 하는...

요즘 세상에 신문을!

오랜만에 만난 후배가 찾아와 “아니 세상에, 신문을 발행하다니! 요즘 누가 신문을 읽어?”하고 걱정했다. 언론계에 있었던 후배는 내...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