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지난 10여 년에 걸쳐 1000여 명의 은퇴자들을 만나며 가장 많이 떠올랐던 단어는 ‘후회’였다.
은퇴자들이 들려주었던, 고통스럽고 슬펐던 진실을 그냥 이대로 묻어둘 수 없어 연재한다.
한혜경 사회복지학과 교수
“은퇴 후 후회하는 일이 무엇인가”라는 나의 질문에 58세 M씨가 기다렸다는 듯이 “시를 쓰지 못한 것”이라고 대답했을 때, 내 귀를 의심했다. 혹시 잘못 들었나?
50대 후반의 남자가 시 얘기를 하는 것도 특이했지만 무엇보다 스물일곱부터 30년 동안이나 은행에 근무하다가 은퇴했다는 M씨는 지금도 전형적인 ‘뱅커’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의아해하는 나의 반응을 눈치챘는지 M씨는 그제서야 약간 멋쩍은 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제가 영문과 출신이거든요. 그렇다고 대학 때부터 시를 쓰고 싶었던 건 아니고, 그때는 시나 소설 강독 시간에 별 재미를 못 느꼈어요. ‘어떻게 하면 괜찮은 직장에 취직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만 가득 차서 한가하게 시나 읽는 대학 생활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정도였으니까요.
그런데 마흔이 넘으니까 저절로 내 인생을 돌아보게 되는 때가 오더라고요. 그때 갑자기 시 읽고 소설 읽던 대학생활이 그리워지는 거예요”
M씨는 덧붙였다. “고등학교 때 내가 쓴 시를 보고 ‘너 시인 되면 좋겠다’고 말씀해주셨던 국어 선생님의 말 한마디가 귀에 뱅뱅 맴돌지 뭡니까? 변명 같지만, 시 쓰고 싶은 마음이 들었던 마흔 무렵이 제일 바쁜 때였어요. 애들 교육비 부담도 커졌고, 승진에도 신경 써야 했고… 그런데 내가 시를 쓰지 못한 데에는 이런 현실적인 이유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있었어요”
“그게 뭔가요?”
“내가 시를 써보고 싶다는 말을 꺼내자마자 주변 반응이 엄청 부정적인 거 있죠? 특히 집사람은 내가 ‘전업 시인’이 되는 걸로 착각했는지 ‘식구들 밥 굶길 일 있냐?’며 화부터 내더군요. 또 선배 한 분은 ‘괜히 시 쓴다고 나대지 마라. 감성만 발달한 무책임한 사람으로 찍히고 싶지 않다면’ 이렇게 충고하더군요. 나부터도 밥 굶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고 있었으니 시가 써졌겠어요? 이제부터라도 시를 써도 되겠죠. 시간도 많으니까요. 그런데 참 이상한 게 시간도 많고 시 쓴다고 비웃는 사람도 없는데도 시가 전혀 떠오르지 않아요”
“전에는 너무 바빠서 시를 쓸 수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렇다면 지금은 시간도 많으니까 시가 잘 써져야 할 텐데요?”
M씨는 난감하다는 표정을 짓더니, 한참 만에 답했다. “전에 최승호 시인 인터뷰를 본 적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