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악보 동생 봇짐에

이종철 신부, 작곡가

그날, 어머니가 마지막 숨을 가쁘게 몰아쉬실 때 나는 어머니의 맥박을 꼭 쥔 채 멈출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자 곧 어머니의 숨과 맥박이 멈추고 입술이 새파래지셨다.

어머니 숨 거두자 시신 둔 채 오선지 갖고 성당 달려가. 장례 때 불러드릴 노래 작곡을

나는 어머니의 시신을 그대로 둔 채 재빨리 연필과 오선지를 찾아 들고 언덕 위의 성당으로 달려갔다. 어머니의 장례식 때 부를 노래를 작곡하기 위해서였다.
다른 형제들은 제명대로 살지 못하고 돌아가신 어머니의 죽음을 애석해하며 울부짖는 동안 장남인 내가 시신 곁을 떠나 없어졌으니 난리가 났다.
이상하게 생각할 정도가 아니라 마을 사람들은 나를 미쳤다고까지 했을 것이다. 지금까지 나 자신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누가, 왜, 그 순간에 장례곡을 만들라고 성당으로 끌고 갔는지 도무지 모를 일이다.
그때까지 나는 감히 작곡을 한다는 것을 상상도 못 해 봤다. 하여간 나는 성당에 올라가 성체 앞에 꿇어앉아 눈물과 콧물을 한없이 흘리며 입당성가부터 마침성가 그리고 고별식 성가까지 장례미사곡 1세트를 두어 시간 만에 만들어 냈다.

누나와 동생 둘과 함께 부를 4부 합창을 연습하여 장례미사 때 어머니의 영혼을 위해 뜨거운 기도를 드렸다. 이것이 내가 처음으로 성가를 만들게 된 동기다. 그때 내 나이 27살이었고, 신학교에서 쫓겨나 여자중고등학교에서 음악교사로 있을 때였다.
어머니의 죽음은 대단한 충격이었다. 굳게 믿었던 큰아들은 멀리 유학까지 가서 사제서품을 몇 달 앞두고 등산길에서 추락사하여 그곳에 묻혀 버렸고, 형을 대신하여 신부가 되겠다던 나 역시 신학교에서 쫓겨났으니, 믿었던 도끼에 발등 찍힌 격이 되자 어머니는 뇌출혈로 세상을 떠나신 것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지 몇 개월 안 된 어느 날, 우리 형제 중에서 제일 못생기고 병약하며 가장 바보스런 여동생이 수녀원에 간다고 나섰다.
홀아비가 된 아버지를 여동생이 그나마 돌봐 드려야 할 상황이었고, 그보다 더 근심스런 일은 저렇게 못난 아이가 수녀원에 가면 필연코 몇 달이 안 되어 쫓겨 올 게 틀림없는데 이걸 어쩌나 하는 걱정이었다.

여러 번 만류했지만 바로 다음 날 수녀원에 입회하러 간다는 것이었다.
나는 여동생이 본당 신부님께 고별인사를 드리러 나간 사이, 동생 방에 들어가 하염없이 이런저런 상념에 빠져 있었다. 별의별 생각이 다 났고 무엇보다도 저 못난 아이가 수녀원 생활을 이겨내지 못하고 쫓겨나면 어떡하나 싶어 여간 불안한 게 아니었다. 그 불안은 곧 기도로 바뀌었다.
그러다 우연히 책상 아래로 눈이 갔다. 휴지통에 깨알같은 글씨의 종이 쪽지들이 찢겨 있었다.
몇 개를 꺼내어 펴 보니 ‘주여 당신 종이 여기 왔나이다. 하얀 소복 차려 여기 왔나이다’라는 글귀였다. 동생이 불살라 버리려고 찢어둔 일기였다. 나는 갑자기 성가를 만들고 싶은 충동이 생겼다. 그 쪽지들을 차례로 배열해 두고 그 위에 곡을 붙였다.

저렇게 못난 아이 수녀원 가면 필히 쫓겨올 텐데 걱정돼 기도하다 우연히 동생 일기를

동생을 주님께 맡기는 애절한 기도로 시작하여 신학교에서 뛰쳐나온 내가 못 한 성스러운 성직을 동생이 대신하게 해 달라는 호소가 함께 상승작용을 한 점이 유달랐다.
떠나는 날 아침, 악보를 동생의 봇짐에 끼워 주며 오빠의 기도가 담긴 노래이니 시간 날 때마다, 또 힘들고 어려울 때마다 불러 보라 권했다.
그런 뒤 한 달쯤 지나서 여동생으로부터 편지가 왔다.

“오빠, 첫날은 그 노래를 부르며 혼자 울었지만 다음 날은 입회 동기생들이 모두 울었고 그다음 날은 온 수녀님들이 흐느꼈습니다”라고.

휴지통에 버린 여동생 쪽지에 떠올라 ‘주여 당신 종 여기 왔나이다’ 그 악보 동생봇짐에

울었지만 다음 날은 입회 동기생들이 모두 울었고 그다음 날은 온 수녀님들이 흐느꼈습니다”라고.
나는 지금도 부지런히 살아가는 동생 수녀를 보면서 “버려진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나이다”라는 성서 말씀이 떠오른다.
제일 못생기고 병약하며 가장 바보스럽던 아이가 어쩜 우리 형제 중에 제일 건강하고 똑똑하며 가장 활동적인 사람으로 바뀌게 되었는지 ‘신앙의 신비’라고 밖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이종철 신부, 작곡가

spot_img

학교폭력! 도저히 못 참겠다

흰물결이 만난 사람김종기 푸른나무재단 명예이사장 아드님이 학교폭력으로 힘들어하는 느낌을 받은 적은 없었나요한번은 아들 얼굴에 멍이 들고 안경까지 망가졌어요. 깡패한테 맞았다고...

新聞이냐 舊聞이냐

발행인 윤 학 그림 이종상 어릴 적부터 신문을 보아왔다. 그런데 10년, 20년, 30년 신문을 보면 볼수록 신문新聞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어느 가족의 용서

첫 휴가도 나가기 전에 부대 내에서 불의의 사고로 20년 12일이라는 짧은 생을 살다 간 알렉산델의 아버지를 만났다. 알렉산델은 과속으로...

채빈이의 분노

이준원 교사마음지원센터 소장 채빈이는 책상과 의자를 집어던지며 교실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었다. 나는 교실 뒤쪽에 앉아 씩씩거리다가 통곡을 하는...

요즘 세상에 신문을!

오랜만에 만난 후배가 찾아와 “아니 세상에, 신문을 발행하다니! 요즘 누가 신문을 읽어?”하고 걱정했다. 언론계에 있었던 후배는 내...

관련 기사